주요 분야 키워드 (Work Area in-depth)
<학문 범위: 필요한 or/and 연구를 위해 배우는 지식>
(필요한 지식) 물리, 화학, 생명 기반의 기초 과학 (the knowledge of general science on Physics, Chemistry, and Biology are required)
(배우는) 생체역학 (biosolid and biofluid mechanics)
(배우는) 기계생물학 (mechanobiology where mechanics and biology meet)
(배우는) 유변학 (Rheology): (the flow and deformation of fluid to understand the physics of 3D printing)
(배우는) 3차원 캐드 (CAD)기반 유한요소해석 (Biomedical computational simulation)
<개발 중인 바이오메디컬 기기/디바이스의 적용범위>
3D 프린팅기반 환자맞춤형 보조기구 및 보철물 (3D Printed Orthotics and Prosthetics)
신약&화장품 산업을 위한 3D 바이오프린팅기반 체외 조직/장기 모델개발 (3D Bioprinted In Vitro Tissue&Organ Models)
재생의학분야를 위한 3D 프린팅기반 조직 이식재 개발 (Implantable 3D Bioprinted Tissue/Organ Constructs for Regenerative Medicine Applications)
3D 프린팅 기반 조직/장기 물리적 자극을 위한 바이오리액터 기기 개발 (3D Printing-assisted Miniature Bioreactors)
3D 프린팅 소재 개발 (Viscoelastic Biomaterials & Rheological Analysis for 3D Printing)
3D 프린팅기반 바이오센서 및 약물전달기기 개발 (3D Printed Biosensors & Drug Delivery Systems)
Main Stream 1: 맞춤형 인공 조직 및 장기 제작 원천기술 확보
Main Stream 2: CAD/CAM/CAE 기반 설계/제조/해석 &역학기반 질병 메커니즘 연구
Main Stream 3: 프린팅기반 바이오센서 & 바이오하이브리드 마이크로 로봇
인공조직/장기 개발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프린팅기술기반 다양한 바이오센서 및 스마트한 약물전달 및 질병모니터링/진단을 위한 살아있는 세포를 구동기 (Actuators Driven by Living Cells)로 활용한 바이오 하이브리드 마이크로 로봇 개발 연구를 수행합니다.
We are Interested in the Following Biosensors: 1) pH Sensor; 2) Hydration Sensor; 3) Glucose Sensor; 4) Hormone Sensor; 5) Strain Sensor. We have also an interest in biohybrid microrobots driven by living cells for smart drug delivery and disease monitoring /diagnostics
Main Stream 3 출처는 아래와 같습니다.
1)"Biohybrid robot powered by an antagonistic pair of skeletal muscle tissues", Science Robotics, 2018
2) "The emerging technology of biohybrid micro-robots: a review", Bio-Design, and Manufacturing, 2022